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병원 간판에 붙은 대학교 로고를 보면 그 학교 출신 의사가 진료할 거라 생각하게 되죠. <br> <br>그런데 아닌 곳이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마케팅 목적으로 멋대로 사용한다는데요.<br> <br>현장 카메라, 곽민경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병원 간판을 보면 특정 대학교들의 로고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그 대학을 졸업했다는 걸 강조하려는 건데요. <br> <br>그런데 학력과는 무관한데도 이런 로고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의사들이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병원 간판에 서울대학교 로고가 들어가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대 출신 의사가 운영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관련이 없습니다. <br> <br>[A 병원 관계자] <br>"예전 (원장이) 서울대 의대 나오셨는데, 현재 (원장은) ○○대 나오셨어요." <br> <br>다른 병원도 로고는 홍보용일 뿐입니다. <br> <br>[B 병원 관계자] <br>"서울대 의대는 아니고. 의대를 졸업을 하셨어." <br> <br>서울대 로고는 병원 대표자가 서울대 의대 졸업생일 경우에만 사용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졸업생이 아니면 서울대병원 근무 경력이 있다해도 로고를 쓸 수 없는 겁니다. <br> <br>허락 없이 쓰면 법률에 따라 고발 대상이 됩니다.<br><br>지난 5년간 서울대 로고를 무단 사용해 신고된 병의원은 360곳이 넘습니다.<br> <br>무단 사용을 넘어 로고를 교묘하게 변형한 곳도 있습니다. <br> <br>[민연홍 / 서울 강동구] <br>"기만 당하는 기분. 당연히 서울대라고 생각을 하고 갔는데, 실력을 떠나서 속인다는 기분이에요." <br> <br>연세대학교는 상업적 목적의 로고 사용을 아예 금지하고 있지만, 현장에서는 로고가 들어간 병원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그마저도 학력과 무관한 도용입니다. <br> <br>[C 병원 관계자] <br>"부산에 있는 대학교 나오셨거든요. 병원 그대로 인수받아서요." <br> <br>[D 병원 관계자] <br>"○○대 나오셨어요. (연세대) 레지던트 과정을 하셨어요." <br> <br>대학 측은 일일이 찾아 단속하기엔 현실적 제약이 크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연세대 관계자] <br>"민원이나 제보가 들어오기 전에는 저희가 확인을 할 수가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제재를 하기가 쉬운 환경은 아니에요." <br> <br>일선 의료현장에서는 환자들의 자기결정권이 침해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이기석 / 정형외과 전문의] <br>"환자를 유인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애시당초 시작부터 환자와 의사와의 관계가 왜곡되면서 들어가는 겁니다." <br> <br>일부 의사들의 그릇된 마케팅이 학교에 대한 신뢰도와 환자들의 선택권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곽민경입니다. <br> <br>PD: 윤순용 <br>AD: 최승령 <br>작가: 신채원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